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9개 국 23명 본선 진출, 치열한 경연 예고

11월 1일부터 9일까지 통영국제음악당서 '2025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한려뉴스임은정 기자 hanryeonews@naver.com|작성일 : 2025-09-12 14:15
페이스북공유하기 트위터공유하기 네카 카카오톡공유하기


11월 1일부터 9일까지 통영국제음악당에서 열리는 2025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본선 진출자가 결정됐다. 
통영국제음악재단은 첼로 부문으로 열리는 올해 콩쿠르에 총 23개국 137명이 지원해 엄격한 심사를 거쳐 9개국 23명의 본선 진출자를 결정했다고 12일 밝혔다.  

본선 참가자들은 11월 1일 참가자 현장 등록을 시작으로 2일~3일 1차 본선, 5일~6일 2차 본선, 8일 결선 무대에 오른다. 입상자 콘서트는 9일 광주예술의전당 대극장에서 열린다. 

본선 및 결선에는 핀란드 아르토 노라스 심사위원장을 비롯해 독일의 마리아 클리겔, 영국·미국의 클라이브 그린스미스, 중국의 지안 왕, 오스트리아의 안드레아스 피어치거, 일본의 히로야스 야마모토, 영국의 루이즈 홉킨스, 그리고 대한민국의 이강호, 김두민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한다. 

본선 진출자는 1차 본선에서 윤이상의 첼로 독주를 위한 ‘활주’(1970)와 코다이, 폴 힌데미트, 리게티의 첼로 독주를 위한 소나타 등을 연주하며, 2차 본선 진출자는 윤이상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공간Ⅰ’(1992)과 베토벤, 브람스, 드뷔시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등을 연주한다. 

결선 진출자는 윤이상의 첼로와 오케스트를 위한 협주곡, 슈만 첼로 협주곡,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 제2번, 엘가 첼로 협주곡, 차이코프스키 로코코 주제에 의한 변주곡, 쇼스타코비치 첼로 협주곡 제1번 중 한 곡을 선택하여 지휘자 레오시 스바로프스키가 이끄는 통영페스티벌오케스트라와 협연한다.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는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의 음악을 기리고 차세대 유망 음악인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2003년에 시작됐다. 2006년 국내 최초로 국제음악콩쿠르세계연맹(WFIMC)에 가입했다. 윤이상 선생의 타계일인 11월 3일을 기점으로 매년 첼로, 피아노, 바이올린 세 개의 부문이 매년 번갈아 열린다. 

2025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는 외국 거주 참가자에게 국제선 왕복 항공편을 제공하며, 참가자 전원에게 11월 1일부터 공식적인 참가자 종료될 때까지 숙식을 제공한다. 

수상자에게는 총 상금 7900만 원(우승 상금 3000만 원)을 수여한다. 윤이상의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1976)’을 가장 탁월하게 연주한 참가자에게 주어지는 윤이상 특별상, 2차 본선 진출자 중 가장 재능 있고 젊은 한국인 참가자에게 주어지는 박성용영재특별상, 최다 관객 투표를 얻은 참가자에게 주어지는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특별상이 마련돼 있다. 

입상자는 예술의전당이 주최하는 ‘교향악축제’와 강원문화재단이 주관하는 ‘평창대관령음악제’ 공연, 광주시립교향악단과 부산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교향악단과의 협연 등의 기회를 얻게 된다. 

역대 입상자로는 피아니스트 김다솔(2005), 윤홍천(2008), 임윤찬(2019), 정규빈(2023), 첼리스트 이정현(2018), 한재민(2022),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2011), 송지원(2017) 등의 한국인 입상자를 비롯해 차이콥스키 콩쿠르에서 우승한 나레크 하크나자리안(2006·첼로), 리즈 콩쿠르에서 우승한 소피아 굴리악(2008·피아노), 유치엔 쳉(2011·바이올린)과 같은 외국인 수상자들을 꾸준히 배출하고 있다.

콩쿠르 경연 실황은 통영국제음악재단 공식 홈페이지(www.timf.org)와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홈페이지 (www.isangyuncompetition.org)를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제공된다. 현장 관람시 1·2차 본선은 무료이며, 결선은 전석 3만원이다. 

관련기사